|
 |
빗자루병 |
- 빗자루병의 특성 |
(1) 대추나무의 빗자루병은 마이코플라스마에 기인하는 전신 감염성인 병이며 |
(2) 대추나무의 가장 치명적인 병으로서 잔가지의 끝부분이나 줄기의 각부분에 빗자루 모양으로 자라고 |
(3) 개화 결실을 못하고 일단 발병하면 2~3년 내에 나무가 죽는다. |
|
전염경로 |
- 접목전염 |
ㅇ 대추나무는 접목법에 의하여 번식되므로 접목에 이용되는 대목과 접수가 마이코플라스마균에 감염되어 있지 |
ㅇ 않아야 한다. |
- 곤충전염 |
ㅇ 마이코플라스마균을 매개할 수 있는 해충은 마름무늬매미충을 비롯하여 모지뿔매미충, 끝동말매미충, 광대 |
ㅇ 매미충, 애뿔매미붙이, 뿔매니충, 동굴매미충등인데 마름매미충은 건전주보다 이병주에서 발생밀도가 높다. |
|
빗자루병 방제법 |
- 전염 경로의 차단 |
ㅇ 접목 번식시 실생대목에 무병주에서 채취한 접수를 사용 |
ㅇ 마름무늬매미충을 비롯한 곤충에 의한 전염병이므로 본해충 발생시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살충제를 살포하여 |
ㅇ 전염경로 차단 |
- 테라마이신의 수간 주입법 |
|
(가) 시용 약제 :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
<약지 취급상 주의사항> |
ㅇ 약액에 직사광선을 받지 않게 할 것 |
ㅇ 건, 냉암장소에 보관할 것 |
ㅇ 약지 보관 용기는 갈색 용기를 사용할 것 |
|
(나) 약제 희석 농도 |
ㅇ 희석할 물은 되도록 깨끗한 보통물을 사용하면 된다. |
ㅇ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99%이상) 시판용 500mg 이나 250mg이 캡슐에 들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
ㅇ 물 1ℓ에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99%이상) 1,000mg을 희석시켜 1,000ppm 용액을 만든다. (캡슐껍질 |
ㅇ 은 제외) |
|
(다) 기구 |
ㅇ 용기 : |
별표 그림과 같은 프라스틱제 1ℓ들이 용기를 쓰거나 링겔병을 활용하되 링 겔병에는 갈색 페인트칠을 하여 직사광선을 차단시켜 약액이 변질되는 것을 막아 주어야 한다. | |
|
ㅇ 연결호스 : |
약액이 용기에서 근부의 주입부까지 통할수 있는 링겔 주사용 호오스를 사 용하면 경제적이고 편리하다. | |
|
ㅇ 송곳 : |
주입구멍은 전기드릴이나 손송곳으로 직경 5mm되는 송곳날을 써서 되도록 뿌리쪽에 5cm깊이로 뚫는다. 이때 껍질속에서 목질부 쪽으로 45。C 기울 어지게 뚫으며 위치는 높이가 각각 다르게 2~3개 뚫는다. | |
|
(라) 약제 주입시기 및 횟수 |
ㅇ 잎이 나오기 직전인 4월 중순~5월 상순이 최적기다. |
ㅇ 병든 나무에는 1~2회 주입으로 정상적인 잎이 피고 정상적인 개화 결실을 볼수 있게 된다. |
|
(마) 약액의 주입량 |
ㅇ 고농도 소량 주입은 약액이 흡수된 병부분에만 치료가 되며 전신 치료는 불가능하다. |
ㅇ 옥시테트라싸이크린에 의한 병징의 방제효과는 수간주입부 위 윗쪽에서만 나타나며 그 아래부분에서는 방제 |
ㅇ 효과가 없다. |
ㅇ 약액은 상부로만 이행되니 되도록 뿌리쪽에서 주입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
ㅇ 약액의 주입량은 15년~20년생을 기준으로 500~1,000cc를 주입하는데 나무의 크기에 따라 양을 조절한다. |
 |
(바) 약액 주입시간 |
ㅇ 보통 500cc를 주입하는데 보통 2~3일 소요된다. |
ㅇ 빗자루병은 전신감염병임을 감안할 때 약액이 수체내전신에 고루 침투 이행되도록 충분한 양을 주입하는 |
ㅇ 이 중요하다. |
|
줄기석음병 |
- 증상 |
(1) 월동 후 초기에는 발아 되었더라도 동해를 입은 가지처럼 수피가 부분적으로 울퉁불퉁하게 변행되면서 발아, 전엽되었던 새가지와 잎들이 점차 고사된다. |
- 방제법 |
(1) 병원균은 항상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므로 성목은 대추 수확 후 10월 하순경에 톱신수화제를 가지에 철저하게 살포한다. |
(2) 4월 상순경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 병원균의 증식을 조기에 저지시킨다. |
|
탄저병 |
- 증상 |
(1) 대추 탄저병은 그 증상이 생리장해의 연부과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데 탄저병에 걸린 과실은 과실이 연화되 어 썩으면서 약간 쓴마슬 내므로 단맛을 느낄수 있는 연부과와는 그 성질이 다르다. |
- 방제법 |
(1) 발병이 심한 곳은 봄철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장마가 끝난후 다이센엠-45 600배, 디포 라탄수화제(모두나) 800배, 안트라콜 600배액으로 8월부터 9월까지 3~4회 정도 살포한다. |
(2) 물빠짐이 좋은 사질 양토에 과원을 조성하고 질소질 비료의 과다 시용을 삼간다. |
|
녹병 |
- 증상 |
(1) 장마 이후 고온 다습한 남부지방에서 매년 그 발생이 심하다. |
(2) 처음에 병반이 잎에 생기면 급격히 확대, 진전되면서 병반주변이 황변하고 이 병반은 신속히 확대되어 심한 낙엽을 초래한다. |
- 방제법 |
(1) 매년 발병 상습지는 배수가 잘되도록하고 질조질 비료를 적게 시용하며 흙탕물이 적게 튀어 오르도록 나무 하부에 부초를 해준다. |
(2) 발병 초기에 다이엔셈-45 600배, 디포라탄(모두나) 800배, 안트라콜 8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한다. |
|
잎마름병 |
- 증상 |
(1) 배수불량, 질소질 과다 과원에서 발생하고 장마철에 만연한다. |
(2) 6월경부터 발병하기 시작하고 작은 적갈색 반점이 잎에 2~4개씩 나타나서 약간 확대되다가 곧 멈춘다. |
(3) 병반은 잎의 앞면과 뒷면에 똑같은 형태의 반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특이하고 시일이 경과하면서 동그란 흑갈 색 반점으로 변한다. |
- 방제법 |
(1) 병에 걸린 낙엽을 긁어모아 태우거나 땅 속 깊이 묻는다. |
(2) 4월 중하순경 발아직전이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철저히 철저히 살포한다. |
(3) 밀식 과원은 간벌을 하여 통광, 통풍을 잘 되도록 한다. |
(4) 장마가 끝난후 다이엔셈-45 600배, 디포라탄(모두나) 800배 액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살포하여 예방 에 힘쓴다. |
|
세균성반점병 |
- 증상 |
(1) 6월부터 발병하고 적갈색 반점이 잎에 2~4개씩 발생 |
(2) 낙엽되지 않으나 잎마름병과 2차 감엽시는 낙엽 초래 |
- 방제법 |
(1) 세균성반점병은 약제 방제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더라도 완전히 방제할 수는 없고 다만 발생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
(2) 발병정도가 심한 경우는 농용신수화제(아그렙토, 부라마이신) 800배 및 6-6식 보르도액을 6월 하순부터 8월까 지 3~4회 살포한다. |
|
|
 |
- 증상 |
ㅇ 사과 잎말이 나방, 사과진딧물, 사과하늘소 및 박쥐나방 등이 다소 발생되나 수량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음 |
- 방제법 |
ㅇ 일정한 간격으로 살충제를 살포해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