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병 해
1) 빗자루병
가) 빗자루병의 특성
(1) 대추나무의 빗자루병은 마이코플라스마에 기인하는 전신감염
성인 병이며
(2) 대추나무의 가장 치명적인 병으로써 잔가지의 끝부분이나 줄
기의 각부분에 빗자루 모양으로 자라고
(3) 개화 결실을 못하고 일단 발병하면 2~3년내에 나무가 죽는다.
나) 전염 경로
(1) 접목 전염
o 대추나무는 접목법에 의하여 번식되므로 접목에 이용되는데 대
목과 접수가 마이코플라스마균에 감염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2) 곤충 전염
o 마이코플라스마균을 매개할 수 있는 해충은 마름무늬매미충
을 비롯하여 모지불매미충, 끝동말매비충, 광대매미충,애뿔매
미붙이, 뿔매미충, 동굴매미충등인데 마름매미충은 건전주부
다 이병주에서 발생밀도가 높다.
다) 빗자루명 방제법
(1) 전염 경로의 차단
o 접목 번식시 실생대목에 무병주에서 채취한 접수를 사용
o 마름무늬매미충을 바롯한 곤충 전염이므로 이는 해충 발생시
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살출제 살포로 전염경로 차단
(2) 테라마이신의 수간 주입법
(가) 시용 약제 :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 약제 취급상 주의사항 ]
o 약액에 직사광선을 받지 않게 할 적
o 건, 냉암장소에 보관할 것
o 약제 보관 용기는 갈색 용기를 사용할 것
(나) 약제 희석 농도
o 희석할 물은 되도록 깨끗한 보통물을 사용하면 된다.
o 옥시테트라싸이크린(테라마이신 99%이상) 시판용 500mg
이나 250mg이 캅셀에 들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o 물 1ℓ에 500mg짜리 2개나 250mg 4개를 캡술을 제외시키
고 약만 넣어 희석시켜 1,000ppm 용액을 만든다.
(다) 기 구
o 용 기 : 아래 그림과 같은 프라스틱제 1ℓ들이 용기를 쓰거나
링겔병을 활용하되 링겔병에는 갈색 페인트칠을 하여
직사광선을 차단시켜 약액이 변질되는 것을 막아
주어야한다.
o 연결호스 : 약액이 용기에서 근부의 주입부까지 통과할수 있
는 링겔 주사용 호오스를 사용하면 경제적이고 편리
하다.
o 송곳 : 주입구멍은 전기드릴이나 손송곳으로 직경 5mm되는
송곳날을 써서 되도록 뿌리쪽에 5cm 깊이로 뚫는다.
이때 껍질속에서 목질부 쪽으로 45℃ 기울어지게 뚫
으며 위치는 높이가 각각 다르게 2~3개 뚫는다.
(라) 약제 주입시기 및 횟수
o 잎이 나오기 직전인 4월 중순~5월 상순이 최적기다.
o 병든 나무에는 1~2회 주입으로 정상적인 잎이 피고 정상
적인 개화 결실을 볼수 있게 된다.
(마) 약액의 주입량
o 고동도 소량 주입은 약액이 흡수 확산된 병부분에만 치료
가 되며 전신 치료는 불가능하다.
o 옥시테트라사이크린에 의한 병징의 제 효과는 수간 주입
부위 윗쪽에서만 나타나며 그 아래부분에서는 방제 효과가
없다.
o 약액은 상부로만 이행되니 되도록 뿌리쪽에서 주입시킴
o 약액의 주입량은 15년~20년생을 기준으로 500~1,000cc를
주입하는데 나무의 크기에 따라 양을 조절한다.
(바) 약액 주입시간
․ 보통 500cc를 주입하는데 보통 2~3일 소요된다.
․ 빗자루병은 전신감염병임을 감안할 때 약액이 수체내 전신에
고루 침투 이행되도록 충분한 양을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줄기석음병
가) 증 상
(1) 월동 후 초기에는 발아되었더라도 동해를 입은 가지처럼 수피
가 부분적으로 울퉁불퉁하게 변형되면서 발아, 전엽되었던 새
가지와 잎들이 점차 고사된다.
나) 방 제 법
(1) 병원균은 항상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므로 성목에서 대추 수
확후 10월 하순경에 톱신수화제 또는 벤레이트수화제를 가지
에 철저하게 살포한다.
(2) 4월 상순경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 병원균의 증식을 조
기에 저지시킨다.
3) 탄저병
가) 증 상
(1) 대추 탄저병은 그 증상이 생리장해의 연부과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데 탄저병에 걸린 과실은 과실이 연화되어 썩으면서 약
간 쓴맛을 내므로 단맛을 느낄수 있는 연부과와는 그 성질이
다르다.
나) 방 제 법
(1) 발병이 심한 곳은 봄철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
포하고 장마가 끝나후 다이센엠-45 600배, 디포라탄수화제(모
두나) 800배, 안트라콜 600배액으로 8월부터 9월까지 3~4회 정
도 살포한다.
(2) 물빠짐이 좋은 사질양토에 과원을 조성하고 질소질 비료의 과
다 시용을 삼간다.
4) 녹 병
가) 증 상
(1) 장마 이후 고온 다습한 남부지방에서 매년 그 발생이 심하다.
(2) 처음에 병반이 잎이 생기면 급격히 확대, 진전되면서 병반 주
변이 황변하고 이 병반은 신속히 확대되어 심한 낙엽을 초래
한다.
나) 방 제 법
(1) 매년 발병 상습지는 배수가 잘되도록하고 질소질비료를 적게
시용하며 흙탕불이 적게 튀어 오르도록 나무 하부에 부초를
해준다.
(2) 발명 초기에 다이센엠-45 600배, 디포라탄(모두나) 800배, 안트
라톨 8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한다.
5) 잎마름병
가) 증 상
(1) 배수불량, 질소질 과다 과원에서 발생하고 장마철에 만연 한다.
(2) 6월경부터 발병하기 시작하고 작은 적갈색 반점이 잎에 2~4
개씩 나타나서 약간 확대되다가 곧 멈춘다.
(3) 병반은 이의 앞면과 뒷면에 똑 같은 형태의 반점이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고 시일이 경과하면서 동그란 흑갈색 반점으로 변
한다.
나) 방 제 법
(1) 병에 걸린 낙엽을 긁어 모아 태우거나 땅 속 깊이 묻는다.
(2) 4월 중하순경 발아직전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철저히 살포한다.
(3) 밀식 과원은 간벌을 하여 통광, 통풍을 잘 되도록 한다.
(4) 장마가 끝난후 다이센엠-45 600배, 디포라탄(모두나) 800배액
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살포하여 예방에 힘쓴다.
6) 세균성반점병
가) 증 상
(1) 6월부터 발병하고 적갈색 반점이 이잎에 2~4개씩 발생
(2) 낙엽되지 않으나 잎마름병과 2차 감엽시는 낙엽 초래
나) 방 제 법
(1) 세균성반점병은 약제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더라도 완전히
방제할 수는 없고 다만 발생정도를 감소시킬수 있다.
(2) 발병정도가 심한 경우는 농용신수화제(아그렙토, 부라마이신)
800배 및 6-6식 보르도액을 6월 하순부터 8월까지 3~4회 살포
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개줄2편~ (0) | 2009.02.11 |
---|---|
[스크랩] 고품질 매실 재배기술 (0) | 2008.11.20 |
[스크랩] 병충해 도감~퍼왔슴. (0) | 2008.11.19 |
[스크랩] 생태건축 재료---황토 자세히 알기 (0) | 2008.11.17 |
[스크랩] 블루베리는 꺾꽂이 (0) | 2008.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