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育

[스크랩] 흉고직경과 근원직경에 대하여 [펌]

설과송 2009. 4. 5. 22:39

1. 흉고직경과 근원직경에 대하여

 


흉고직경(B)(胸高直徑, diameter at breast height)은 가슴 높이(지표면에서 1.2m)에서 잰 지름을 뜻하며, DBH로도 표시합니다

 

보통 나무의 규격을 표시하는 단위로 R이 사용됩니다. 이것은 Root Collar Caliper의 약자로서 근원 직경(根源直徑)을 의미합니다(caliper는 diameter와 같이 지름을 뜻합니다).

 

근원(根源)은 뿌리와 줄기가 서로 분기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근원부(根源部)라고도 합니다. 직경(直徑)은 '가로질러 가는 지름길', 즉 원의 '지름'을 의미하며 원의 '둘레'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소나무의 근원직경이 10cm라고 하면 R10으로 표시하며, 이 소나무의 근원부 둘레는 약 31cm가 됩니다(10cmX3.14).

 

근원경(根源徑)은 근원직경을 생략하여 부르는 명칭입니다. 하지만, 흔히 '근경(根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뿌리의 지름'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근원부와 뿌리는 서로 다른 의미이기에 구분해서 사용해야 할 줄로 압니다. 

 

 

 

 

 

 

 

2. 점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하여

 

나무의 근원직경을 뜻하는 용어인 'R' 대신에 '점'이라는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용어의 유래는 불명확합니다. 추측컨데, 일제시대 cm를 뜻하는 '전'이 변형된 것으로 봅니다. 건축 및 토목 관련 용어들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던 일본식 명칭들이 많이 사라져 왔지만,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것들 중 하나에 속하는 것이 '전'이며 이 외에도 '회베'와 '루베'가 있습니다. 회베는 넓이를 뜻하는 ㎡의 일본식 명칭이며, 루베는 부피를 뜻하는 ㎥의 일본식 명칭입니다.

 

국제 기준에 맞추어, '근'과 '평'이 'g'과 '㎡'로 바뀌고 있는 시대에 '전', '회베', '루베'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 비추어 볼 때, 그 유래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전'의 변용으로 보이는 '점'을 관습처럼 사용하는 수목 거래 문화는 재고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아래 글은 근원직경의 영어명칭과 관련하여 도움을 얻은 archikangsk님의 지식in 답변글 원문입니다. 원문 중 'diameter of breast height'을 'diameter at breast height'으로 정정하였습니다. archikangsk님께 감사드리며, 최초로 R의 유래를 알려주신 팀시스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수고(H)(樹高, tree height) : 지표면에서 나무정상까지의 수직거리, 단위:m

수관폭(W)(樹冠幅, width of crown) : 나무의 지상부 폭으로 수목이 타원형일 경우 최단폭과 최장폭의 평균값을 적용, 단위:m

흉고직경(B)(胸高直徑, diameter at breast height) : 지표에서 1.2m높이 부위의 나무줄기의 직경, 단위:cm

근원직경(R)(根源直徑, root-collar caliper) : 지표면 부위의 나무줄기 직경, 단위:cm

수관길이(L)(樹冠, length) : 수평으로 자라는 성질을 가진 나무의 최대길이, 단위:m

근장(根長, root lenght)

 

H X W를 쓰는수목은


가시나무 가이쯔까향나무 개쉬땅나무 개야광나무 갯버들 겹철쭉 계수나무 공조팝나무 광나무 구상나무 굴거리나무 금송 꽝꽝나무 나무수국
낙상홍 남천 단풍철쭉 당종려 독일가문비나무 돈나무 뜰보리수 박태기나무 사철나무 산철쭉 서양측백 섬잦나무 수수꽃다리나무(라일락)
스트로브잦나무 식나무 실편백 아왜나무 애기동백 영산홍 옥향 자산홍 전나무 조팝나무 주목 쥐똥나무 진달래 측백나무 치자나무 태산목
팔손이나무 편백 향나무 협죽도 호랑가시나무 화살나무 황매화 회양목 후피향나무

 

H X R은


겹벗나무 곰솔 공작단풍나무 구실잣밤나무 굴참나무 귀롱나무 꽃복숭아 꽃사과 낙우송 노각나무 느릅나무 느티나무 능소화 다래덩굴

대나무 대왕참나무 대추나무 동백나무 등나무 떡갈나무 때죽나무 매화나무 모감주나무 모과나무 목련 목백합(튜립나무) 무궁화
물푸레나무 배롱나무 백송 보리수 산단풍 산사나무 산수유 살구나무 상수리나무 석류나무 소나무 쉬나무 신갈나무 아그배나무 야광나무
이팝나무 일본목련 자귀나무 자엽자두 졸참나무 중국단풍 쪽동백 청단풍 층층나무 칠엽수 팥배나무 팽나무 피나무 홍단풍 회화나무
후박나무

 

H X B는


가중나무 갈참나무 감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메타세쿼이어 버즘나무(플라타너스) 벽오동 산벚나무 왕벚나무 은행나무 자작나무

 

H X L은


눈향나무 담쟁이덩굴 잔디

 

출처 : 솔바탕 한솔님작성글

출처 : 장수농원.
글쓴이 : 황금소나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