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스크랩] 14.조경용 수목의 종류와 특징(스크랩)

설과송 2011. 3. 6. 21:55

 

 

14.조경용 수목의 종류와 특징

 

 

1. 장소별 적합수종

 

가. 가로수용으로 좋은 나무

○교목 : 은행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느릅나무, 이팝나무, 양버즘, 메타세콰이어, 가중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목백합

 

 

나. 주택, 공원, 학교 등에 좋은 나무

○교목 : 소나무, 반송, 서어나무, 주엽나무, 당단풍, 염주나무, 느릅나무, 이팝나무, 층층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측백나무, 팽나무, 때죽나무, 느릅나무, 팥배나무, 복자기, 자귀나무, 산딸나무, 섬잣나무, 소사나무, 느티나무, 보리수, 감나무, 살구나무, 대추나무, 산수유, 복숭아, 주목, 단풍나무, 회화나무, 자두나무, 배롱나무, 가이즈까향, 홍단풍, 백목련, 자목련, 낙우송, 메타세콰이어, 계수나무, 스트로브잣, 모과나무, 칠엽수, 목백합

 

○관목 : 무궁화, 진달래, 개나리, 눈향, 매자나무, 고광나무, 발도리나무, 까마귀밥나무, 조팝나무, 병아리꽃나무, 옥향, 작살나무, 명자나무, 딱총나무, 가막살나무, 병꽃나무, 노린재, 수국, 작살나무, 회양목, 철쭉, 화살나무, 국수나무, 찔레, 으름덩굴,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다래나무, 수수꽃다리, 황매화, 덩굴장미, 장미, 옥매, 박태기나무, 낙상홍, 모란

 

 

다. 강변, 지천변에 좋은 나무

○교목 : 능수버들, 수양버들, 수양벚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메타세콰이어

 

○관목 : 무궁화, 개나리, 회양목, 매자나무, 병꽃나무, 명자나무, 철쭉, 수수꽃다리, 박태기나무

 

 

 

라. 공장, 도로변에 좋은 나무

○교목 : 은행나무, 산수유, 자작나무, 목련, 때죽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느릅나무, 양버즘, 목백합, 은단풍, 가중나무, 스트로브잣, 칠엽수, 메타세콰이어, 홍단풍

 

○관목 : 무궁화, 개나리, 광나무, 흰말채나무, 병꽃나무, 회양목, 매자나무, 둥근향, 화살나무, 명자나무, 수수꽃다리, 낙상홍, 덩굴장미

 

 

 

2. 환경정화수종

 

가. 공장, 도로변과 같이 오염농도가 높은 곳

○교목 : 은행나무, 목백합, 양버즘나무, 은단풍나무, 가중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참느릅나무 (8종)

○관목 : 무궁화, 개나리, 낙상홍, 수수꽃다리, 산수유(5종)

 

 

나. 주택가 등 오염정도가 심하지 않은 곳

○교목 : 느티나무, 팽나무, 오동나무, 배롱나무, 밤나무, 백목련, 벚나무, 서어나무, 칠엽수, 회하나무, 감나무, 때죽나무, 층층나무, 자두나무(14종)

 

○관목 : 매화나무(매실나무), 박태기, 자목련 (3종)

 

 

3. 공해에 강한 수종

 

가. SO2 에 강한 품종 : 가중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 졸참나무, 주엽 나무, 산오리나무, 회화나무, 자귀나무, 층층나무, 누리장, 쥐똥나무, 멀구슬나무

 

나. CO 에 강한 나무 : 은행나무, 참느릅나무, 가중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층층나무, 산사나무, 병꽃나무, 개나리, 중국단풍, 매자나무, 버드나무 류

 

 

4. 권장수목

 

○과일이 열리는 나무 : 감나무, 매화나무, 모과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등

 

○꽃이 아름다운 나무 : 매화나무, 목련, 무궁화, 산수유, 살구나무, 벚나무류, 때죽나무, 이팝나무, 영산홍, 자산홍

 

○단풍이 아름답게 드는 나무 : 복자기, 은행나무, 단풍나무류, 마가목, 감나무, 느티나무 등

 

○그늘이 좋은 나무 : 느티나무, 목련, 벚나무류, 은행나무, 회화나무, 계수나무, 칠엽수, 팽나무 등

 

○사철 푸른나무 : 소나무, 잣나무, 젓나무, 주목, 향나무 등

 

 

5. 나무 고르기

 

○묘목 : 잔뿌리가 많고 가지가 사방으로 고루 뻗어 있으며 눈이 큰 것이 좋으며 병충해 피해가 없고 묘목에 상처가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꽃나무 : 꽃봉오리가 굵으면서 봉오리수가 적게 달린 것이 병충해에 강하고 꽃도 왕성하게 필 수 있다.

 

○상록수 : 잎이 짙푸른 것이 영양상태가 좋은 것이며, 너무 웃자라거나 안 자란 것보다는 적당한 크기에 매끈하게 자란 것이 건강한 묘목이며 가지에 흠집이 있는 것은 병충해 피해를 입은 것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접목묘 : 접목부위를 흔들어 보아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넓게 퍼져 있고 잔뿌리가 많은 것을 구입해야 옮겨 심어도 잘 자란다

.

 

6. 나무 심기

 

가. 묘목운반

○묘목을 운반할 때는 뿌리가 햇볕에 쬐거나 건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를 맞거나 오래 쌓아두면 부패되기 쉬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묘목이 얼거나 어린순이 부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운반된 나무는 뿌리가 마르기 전에 심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거적이나 가마니를 뿌리에 덮고 건조되지 않도록 물을 뿌려 주도록 한다

 

나. 가식(임시심기)

○가식을 할 때는 끝부분이 북쪽으로 향하게 한다.

○뿌리를 잘 펴서 열지어 묻어 준다.

○묻는 깊이는 상록수는 잎이 묻히지 않을 정도로 묻고, 낙엽수는 묘목의 2분의 1이상이 묻히도록 한다.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단단히 밟아주어야 한다.

 

다. 식재 거리(간격)

○조경수등 나무 생산목적일 경우는 품종의 특성, 묘목의 크기, 성장하는 속도, 판매시기에 따라 적합한 거리를 정하는데 가장 경제성이 높은 식재밀도는 식재 후 3~4년내에 판매 또는 이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무는 서로 경쟁시킬 때 빨리 자라며 관리가 효율적이다. 반면 관상목적일 경우는 충분한 생육거리를 둘 수 있도록 한다.

 

라. 구덩이 파기

○구덩이 크기보다 넓게 지피물을 벗겨내고, 크기는 수종에 따라 다르지만 규격에 맞추어 충분히 파는 것이 좋다.

○겉흙과 속흙을 따로 모아놓고 돌, 낙엽 등을 가려낸다. 묘목은 심기 전에 미리 파두었다가 매운 흙이 가라앉게 되면 그 다음에 심는 것이 좋다.

○구덩이의 크기는 토양의 조건에 따라 메마른 땅은 넓고 깊게 파도록 하고, 배수가 불량한 땅은 습해를 피하기 위해 구덩이를 낮게 판다. 구덩이의 하층부에는 완숙퇴비와 썩은 고운 흙을 잘 섞어서 채우되 화학비료는 주지 않는다.

○구덩이의 크기는 심을 나무가 퍼져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우선 구덩이에 밑거름과 부드러운 겉흙을 5~6cm정도 넣고 뿌리를 곧게 세운 다음 겉흙과 속흙을 섞어 2/3정보 채운 후 나무를 잡아당기듯 하여 잘 밟아주고 물을 충분히 준 다음 나머지 흙을 채우고 수분증발을 막기 위하여 짚이나 나뭇잎을 덮어준다.

○나무를 너무 깊게 심으면 뿌리발육은 물론 가지가 잘 뻗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마. 나무 식재본수(1정보당)

장기수(침엽수)

장기수(활엽수)

수 종

본수

수 종

본수

강 송

3,000

참나무

3,000~6,000

잣나무

3,000

자작나무

3,000~6,000

전나무

3,000

물푸레나무

3,000~6,000

낙엽송

3,000

느티나무

3,000~6,000

삼나무,편백

3,000

해 송

3,000

 

출처 : 향기솔솔~~
글쓴이 : 향기솔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