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칡 제거방법
안녕하십니까?
우선 산림관리에 관심을 갖고 질의하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께서 질의하신 내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조림지에 많이 발생하는 덩굴류로는 칡, 다래, 머루, 사위질빵, 담쟁이덩굴, 노박덩굴, 으름덩굴, 댕댕이덩굴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수관을 덮어 생장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줄기를 감으면 잘록하게 되어 공예적 가치를 낮추고 바람에 부러지게 하는 등의 피해를 발생시킵니다. 특히 칡은
번식력이 강하고 생장력이 왕성하여 우리나라 전국 어느 곳이나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 침입하여 번성하며, 뿌리가 크고 길며 움싹이 잘 나므로 인력에 의한 물리적인 근절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제초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사람, 동식물, 수자원 등에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물리적 제거방법
조림목이 생장하여 임분이 울폐될 때까지 칡줄기를 제거하는 방법과 뿌리를 굴취하는 방법이 있는데 칡뿌리 채취는 최근 개발된 발근식 칡채취기(kenda) ; 동국정밀바로가기 를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2) 제초제에 의한 제거방법
1) 디캄바액제(반벨) 처리방법
디캄바액제는 홀몬형 이행성의 선택성 제초제로서 화본과 식물(벼, 보리, 잔디등)은 내약성이 강하나 광엽잡초 특히 콩과식물(칡, 아까시나무, 콩 등)에 대한 고살 효과가 아주 높습니다. 경엽흡수제로서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 살아있는 조직에 약액을 묻히면 식물체 속으로 침투 흡수되고 토양에
떨어진 약액은 토양 중에서 수분에 용해되어 식물의 뿌리로 흡수됩니다. 식물체 속으로 침투한 약액은 내부에서 이행하며 살초작용을 발휘하는데 식물체의 생리작용을 교란시켜 광합성작용 및 생장을 장애하고 고사시키게 됩니다. 쥐에 대한 경구독성은 1,700㎎/㎏으로 약한 편이며 일반적인 기상조건이나 토양조건에서 토양 내 잔류기간은 30일 정도입니다.
나) 작업시기
연중 작업이 가능하지만 초본류 발생과 낙엽수의 잎이 피기전인 2-3월중에 실시하거나 낙엽이 진 후 10-11월에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다) 대상임지
조림목에 뿌리가 넓게 뻗지 않은 조림 후 1-3년이 경과된 임지에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조림목이 큰 임지에서는 약액이 지면에 떨어지거나
흐르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라) 처리방법
<약제주입기 사용방법>
- 칡의 주두부나 줄기에 주입기의 침을 돌리면서 삽입한 후 방아쇠를 당기면 약액이 주입됩니다.
- 칡줄기의 직경이 2㎝ 이상일 때는 줄기처리가 가능하나 그 이하일 때는 주두부 중심부에 처리합니다.
- 약제는 원액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 처리약량은 직경이 2㎝일 때 0.2㎖, 5㎝일 때 0.5㎖를 주입합니다.
- 주두부에서 나온 줄기가 1개 이상일 때 가장 굵은 줄기 한 곳에만 처리합니다.
<약제도포기 사용방법>
- 디캄바액제처리용 도포기는 약액 도포부위에 부러시를 부착한 것과 스펀지를 부착한 것이 있으며, 부러시 방식은 수평방향, 스펀지 방식은 수직
방향으로 약액이 분출(1회 0.02-0.06㎖분출)됩니다.
- 칡의 주두부에서 10㎝이내 줄기에 도포하되 칡줄기 2/3둘레까지 도포하여 주며, 도포폭은 줄기직경의 2-3배정도로 합니다.
- 주두부에서 나온 모든 줄기에 처리하시면 됩니다.
- 칡의 줄기마디에서 뿌리가 나온 경우 주두부쪽 줄기에 도포하여 줍니다.
- 처리 약량은 줄기의 굵기나 수에따라 다르다. 0.05-0.5㎖정도가 소요됩니다.
마) 작업시 주의사항
디캄바액제는 흡수 이행력이 강력하여 약제가 빗물이나 관개수 등에 흘러 조림목 이나 다른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으니 절대로 약액을 땅에
흘리지 말아야 합니다. 약제 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강우가 예상될 경우 약제처리를 중지합니다. 고온시(30℃ 이상)에는 증발에 의한 주변 식물에 약해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작업을 삼가합니다. 사용한 처리도구는 잘 세척하여 보관하고 빈병은 반드시 회수하여 지정된 장소에서 처리합니다.
2) 글라신액제(근사미)의 처리방법
가) 처리시기
생장기인 5-9월에 실시하면 효과적입니다.
나) 처리방법
약제주입기를 사용하거나 약액을 침적시킨 면봉을 줄기나 주두부의 살아있는 조직 내부로 약액을 주입시켜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의료용 면봉을 약제원액에 침적시켜 칡포기부위 살아 있는 조직에 송곳으로 1본당 2개정도 구멍을 뚫고 2개 구멍에 각각 1개씩 꽂아 줍니다. 약제주입기를 사용하여 글라신 약제원액을 칡포기 부위의 살아있는 조직에 1본당 1-2회 주사합니다. 칡의 포기부분은 부패되어 있는 부위가 많이
있는데 부패된 부위를 피하여 반드시 살아 있는 조직에 구멍을 뚫고 약액을 넣어 주거나 약액에 침적된 면봉을 꽂습니다. 약액에 침적시킨 면봉을 사용
하는 경우 약액이 면봉에 충분히 배어들도록 15분 이상 침적시키면 됩니다. 약액이 침적된 면봉이 너무 오래되어 건조하면 다시 침적하여 사용합니다.
처리가 잘못되었거나 빠진 것은 4주가 경과하여도 잎이 변색되지 않으므로 재처리합니다.
다) 처리약량
칡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개 본당 0.3-1.0㏄정도가 소요됩니다.
라) 처리효과
약제처리 후 1주가 경과되면 잎이 변색되기 시작하며, 4주가 되면 지상부가 완전히 고사하고 뿌리가 부패되기 시작합니다.
기타 궁금하신 사항에 대하여 문의 하시면 친절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담당부서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갱신·육림연구실
연 락 처 : 031-540 -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