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뼈줄기의 유형
자연에서의 뼈줄기의 형태는 넓게 나누면, 직선적이거나 부분적으로 약간의 곡면을 포함하는 <직선형>, 줄기를 따라 감돌아 올라가는 <나선형(螺旋形)>, 각각 다른 부위에서 부분적으로 뼈줄기가 생겨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살아있는 수피와 조화를 이루는 <분산조합형>, 줄기와 가지의 흐름이나 모양새가 조각한 것처럼 다양한 형태로 아름다운 <조각예미형>, 줄기의 내부가 비거나 관통된 부분을 가지는 <공동형(空洞刑)>으로 나눌 수 있는데, 조각형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분재작가들의 창작욕구가 더해져 현대조각품처럼 아름답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뼈줄기의 구상은 대부분 위 5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소재의 형태와 수종의 생리(줄기의 곡과 유연성, 가지와 잎의 밀도, 무게감 등)를 고려하여 전체 수형에 대한 예상 속에서 시행하게 된다.
5-1) 직선형 뼈줄기
직선형 뼈줄기는 송백류에서는 주로 노간주나무, 가문비나무, 섬잣나무에서 나타난다. 솟구치는 나무의 기상, 당당함과 의연함이 강조되는 수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고태와 연륜, 풍상감을 더한다.
다른 수종에서는 주로 매화에서 나타나는데, 기이한 곡이 많은 매화 수형의 특이성을 이루는 한 요소로 색조의 대비와 더불어 수형의 자유로움에 고태와 풍상감을 부여한다.
5-1-1 노간주나무 귀중분재 국풍69회(95년) 5-1-2 섬잣나무 귀중분재
5-1-3. 야매 높이68 동해분재명품전
5-2) 나선형
나선형 뼈줄기는 주로 자연스런 줄기 곡을 수종의 생리적 특질로 하는 눈향나무에서 많이 나타나며 줄기의 자연스런 예미(藝美)가 수형미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 경우 작가의 미감이 더해지기도 한다.
섬잣나무 작풍전 19회 눈향나무 높 85cm명 도지(道芝)
5-3) 분산조합형
줄기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부식이 전체적 형태를 만들어내는 분산조합형은 주로 병충해의 부분적 발생에 의해 생겨나 그것을 그대로 살려 만든 뼈줄기인 경우가 많다.
5-3-1눈향나무 5-3-2 가문비나무 국풍80년(2006)
5-4) 조각예미형
자연 소재가 가진 아름다움이나 그 가능성을 개개 소재의 형태와 그 수종의 생리를 고려하여 작가가 창의적 미감을 더하여 만들어낸 뼈줄기 형태.
때로는 분재수가 되기 어려운 소재들이 자연에서 발견한 다양한 뼈줄기, 뼈가지의 형태를 적용한 작가의 창의적 수형구상으로 새롭게 창조되기도 한다.
5-4-1 눈향나무 높이 81cm 5-4-2 눈향나무 명 유(遊) 높이88cm 폭107cm
5-4-3노간주 명 자룡 높이78
5-5) 공동형(空洞形)
자연 상태에서 줄기의 심이 부식되어 공동화(空洞化)된 줄기 유형으로 분재에서도 인위에 의한 것이기보다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많다. 수종의 생리상 고목이 되면 심이 부식되면서 구멍이 생기는 수종인 주목과 매화나무에서 주로 나타난다.
5-5-1 섬잣나무 높이 84cm 명 백선(伯扇) 5-5-2 야매 높이 90cm 국풍74회
'정원수.분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뼈줄기, 뼈가지 만들기 원리와 방법-4) 뼈줄기, 뼈가지 만들기 원리와 방법-뼈줄기, 뼈가지 작업 시기 (0) | 2015.02.26 |
---|---|
[스크랩] 뼈줄기, 뼈가지 만들기 원리와 방법-3) 자연에서의 뼈줄기 형성 원리와 과정 (0) | 2015.02.26 |
[스크랩] 중국 세간의 분재미의식-3.고간담박형 (0) | 2015.02.05 |
[스크랩] 5. 분재수를 심는 위치, 방향, 각도 (0) | 2014.06.30 |
[스크랩] 일본의 수형 지침 (0) | 2014.01.09 |